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교통비 지원제도

by 끰나나 2025. 3. 26.
반응형

교통비, 누구에게나 부담입니다

대중교통 요금은 작게는 하루 2~3천 원이지만, 한 달이면 수십만 원이 되는 필수 지출입니다. 특히 장애인처럼 이동에 제약이 있는 분들에게 교통비는 경제적·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교통비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교통비 지원이란?

장애인 교통비 지원이란, 교통 약자인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과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버스, 지하철, 택시, 철도 등 다양한 교통수단 이용 시 요금 감면 또는 이용권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각자 별도 정책을 시행 중이며, 거주 지역에 따라 혜택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혜택이 있나요?

2025년 기준, 전국 공통 또는 주요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주요 교통비 지원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버스·지하철 요금 감면: 등록 장애인 본인 무임 또는 30~50% 할인
  • 철도 요금 할인(KTX, ITX, 새마을호 등): 최대 50% 할인
  • 장애인 콜택시 운행: 이동권 취약자를 위한 저렴한 맞춤형 택시 서비스
  • 시내·시외버스 요금 감면: 일부 지역 한정 30~50% 할인
  • 장애인 차량 등록 시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 할인율은 장애 정도(중증·경증) 및 동반 보호자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원 대상은 누구?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교통비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장애인 등록을 완료한 자 (등급 관계 없음)
  • 복지카드 또는 장애인증명서를 소지한 자
  • 일부 혜택은 보호자 동반 시에도 감면 가능

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등록된 장애인’이라면 대부분 혜택이 적용됩니다.

 

신청 방법은?

지원 방식에 따라 신청 절차가 다르지만, 일반적인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복지카드 제시로 즉시 감면 (지하철·버스·철도 등)
  • 콜택시 등록 신청: 지역 장애인복지관 또는 시청 교통과 방문
  • 모바일 앱 또는 유선 신청 (예: 서울시 장애인 콜택시 ‘엔젤콜’)

콜택시 이용의 경우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신청 가능 여부를 확인하거나, 거주지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장애인 교통지원 서비스’ 검색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요약

장애인 교통비 지원제도는 일상 속 반복되는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 복지정책입니다. 복지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오늘부터 지하철도, 버스도, 콜택시도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비는 아낄 수 있는 항목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반응형